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정보처리기사
- aws
- 카테부
- Docker
- 코딩테스트 고득점 kit
- 한국전자통신연구원
- BFS
- 골드5
- 도커
- 백준 알고리즘
- ETRI
- 디자인패턴
- 자바
- 카카오테크 부트캠프
- 골드3
- Express
- 정처기
- 대전
- DFS
- 자료구조
- EC2
- 알고리즘
- 프로그래머스
- 배포
- 엘라스틱빈스톡
- 스프링 부트
- 골드4
- express.js
- DP
- 인스턴스
Archives
JUINTINATION
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 본문
반응형
디지털 저작권 관리(Digital Right Management)의 개요
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, 유통, 이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이다.
- 원본 콘텐츠가 아날로그인 경우에는 디지털로 변환한 후 패키저(Packager)에 의해 DRM 패키징을 수행한다.
- 크기가 큰 콘텐츠의 경우에는 미리 패키징을 수행한 후 배포하고 음원이나 문서와 같이 크기가 작은 콘텐츠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패키징을 수행한다.
- 패키징을 수행하면 콘텐츠에는 암호화된 저작권자의 전자서명이 포함되고 저작권자가 설정한 라이선스 정보가 클리어링 하우스(Clearing House)에 등록된다.
- 클리어링 하우스는 디지털 저작권 라이선스의 중개 및 발급을 수행하는 곳으로 디지털 저작물의 이용 내역을 근거로 저작권료의 정산 및 분배가 수행된다.
- 사용자가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리어링 하우스에 등록된 라이선스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콘텐츠 사용 권한 소유 여부를 확인받아야 한다.
- 실제 사용한 양에 따라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종량제 방식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경우 클리어링 하우스를 통해 서비스 실제 사용량을 측정하여 이용한 만큼의 요금을 부과한다.
DRM의 관리와 흐름 및 구성요소
클리어링 하우스 | 키 관리 및 라이선스 발급 관리 |
콘텐츠 제공자 |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|
패키저 |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단위로 묶는 기능 |
콘텐츠 분배자 | 쇼핑몰 등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제공 |
콘텐츠 소비자 |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 |
DRM 컨트롤러 |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 |
보안 컨테이너 |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|
DRM의 기술 요소
구성 요소 | 설명 |
암호화(Encryption) |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 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|
키 관리 (Key Mangement) | 콘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분배 기술 |
암호화 파일 생성 (Packager) | 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 |
식별 기술 (Identification) | 콘텐츠에 대한 식별 체계 표현 기술 |
저작권 표현 (Right Expression) | 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 |
정책 관리 (Policy Management) |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 표현 및 관리 기술 |
크랙 방지 (Tamper Resistance) | 크랙에 의한 콘텐츠 사용 방지 기술 |
인증(Authentication) |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 |
반응형
'정보처리기사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및 관리 (0) | 2024.02.12 |
---|---|
소프트웨어 설치 및 사용자 매뉴얼 (1) | 2024.02.12 |
소프트웨어 패키징과 릴리즈 노트 (0) | 2024.02.12 |
단위 모듈 구현 (0) | 2024.02.12 |
데이터베이스 개요 (0) | 2024.02.11 |
Comments